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[제한사항]
s의 길이는 5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
s는 숫자와 '{', '}', ',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.
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✳️ 문제풀이
이번 문제 원소들의 개수에 초점을 두고 풀이를 진행했다.
주어진 예시 [2,1,3,4] 를 통해 생각해보자.
원소의 개수 1개 : [2]
원소의 개수 2개 : [2,1]
원소의 개수 3개 : [1,2,3]
원소의 개수 4개 : [1,2,3,4]
..
..
`2` 는 모든 모든 튜플에 포함된다.
`1` 은 원소의 개수가 1개인 튜플을 제외한 모든 튜플에 포함된다.
`3` 은 원소의 개수가 1개 + 원소의 개수가 2개 인 튜플을 제외한 모든 튜플에 포함된다.
`4` 은 원소의 개수가 1개 + 원소의 개수가 2개 + 원소의 개수가 3개 인 튜플을 제외한 모든 튜플에 포함된다.
위와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. 이를 통해 "모든 튜플에 포함된 원소의 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면 되겠다" 라고 생각하고 풀이를 진행했다.
주어진 String s 를 튜플(List)로 변환하고 원소의 수를 Map 담는 식으로 진행했다. List 로 변환하고 원소의 개수를 카운트 해주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.
// 원소의 개수를 담을 Map
Map<String, Integer> count = new HashMap<>();
s = s.substring(2, s.length() - 2);
// "},{" 로 문자열을 분할
String[] parts = s.split("},\\{");
for (String part : parts) {
// 각 부분을 콤마로 분할하여 숫자로 변환
for (String numStr : part.split(","))
count.put(numStr, count.getOrDefault(numStr, 0) +1);
}
다음으로 Map 에 담긴 데이터를 value 기준으로 내림차순하여 return 했다. 이 과정에선 Stream() 을 사용했다.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public int[] solution(String s) {
Map<String, Integer> count = new HashMap<>();
s = s.substring(2, s.length() - 2);
// "},{" 로 문자열을 분할
String[] parts = s.split("},\\{");
for (String part : parts) {
// 각 부분을 콤마로 분할하여 숫자로 변환
for (String numStr : part.split(","))
count.put(numStr, count.getOrDefault(numStr, 0) +1);
}
return count.entrySet()
.stream()
.sorted(Map.Entry.<String, Integer> comparingByValue().reversed())
.mapToInt(entry -> Integer.parseInt(entry.getKey()))
.toArray();
}
}
정답은 맞았지만 점수가 1점 밖에 오르지 않아 최적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몇개 고민해봤다.
♻️ 최적화 및 개선
다른 접근을 통해 이 문제를 풀어보겠다. 튜플마다 포함된 원소의 개수를 측정하는게 아니라 각 원소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튜플의 크기에 주목했다. 두번째 예시인 "{{1,2,3},{2,1},{1,2,4,3},{2}} 를 튜플의 크기 별로 정렬하면 {2}, {2,1}, {1,2,3}, {1,2,4,3} 이다.
{2}
- `2` 처음으로 등장
{2,1}
- `1` 처음으로 등장
{1,2,3}
- `3` 처음으로 등장
{1,2,4,3}
- `4` 처음으로 등장
이라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. 즉, 처음으로 등장하는 원소를 차례대로 모아서 return 해야 한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 `LinkedHashMap` 을 사용했다. `LinkedHashMap`은 'HashMap`의 순서 보장 기능을 확장한 것이다. `HashMap`은 키와 값을 저장할 때 내부적으로 해싱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, 데이터의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.
반면 `LinkedHashMap` 은 각 항목(entry) 을 추가할 때의 순서를 유지하는 연결 리스트를 내부적으로 사용하여, 항목들이 추가된 순서대로 순회할 수 있게 해준다.
이를 사용한 풀이는 아래와 같다.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public int[] solution(String s) {
// 문자열에서 튜플을 나타내는 부분을 분리
s = s.substring(2, s.length() - 2).replace("},{", "-");
String[] arr = s.split("-");
// 튜플의 크기에 따라 정렬
Arrays.sort(arr, (a, b) -> a.length() - b.length());
Map<Integer, Integer> map = new LinkedHashMap<>();
for (String part : arr) {
for (String numStr : part.split(",")) {
int num = Integer.parseInt(numStr);
map.putIfAbsent(num, map.size());
}
}
return map.entrySet()
.stream()
.mapToInt(entry -> entry.getKey())
.toArray();
}
}